본문 바로가기
유용한 생활정보

📜 2025 공직선거법 제49조란?

by 모아모아모아 2025. 5. 11.
반응형

공직선거법 제49조는 후보자가 어떻게 선거에 출마할 수 있는지를 규정한 핵심 조항입니다.
투명하고 공정한 선거를 위해 후보자의 등록 조건과 절차를 구체적으로 정하고 있으며,
모든 후보자는 이 조항에 따라 등록해야 정식 후보로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

출처: 공직선거법 제49조 - 국가법령정보센터


🗳️ 후보자 등록, 이렇게 진행됩니다

✅ 1. 등록기간

  • 각 선거별로 법에서 정한 등록일정이 존재
  • 예) 국회의원 선거: 선거일 20일 전부터 2일간 등록

✅ 2. 제출서류

후보자는 다음과 같은 서류를 직접 선거관리위원회에 제출해야 합니다.

  • 후보자 등록신청서
  • 주민등록표 초본
  • 범죄경력 증명서
  • 정당 추천서(정당 공천 시)
  • 재산·병역·납세 등 공개자료

✅ 3. 기탁금 납부

  • 기탁금 제도는 아무나 무분별하게 출마하지 않도록 하는 장치입니다.
  • 예시:
    • 대통령 선거: 3억 원
    • 국회의원 선거: 1,500만 원
    • 지방자치단체장 선거: 500만 ~ 1,000만 원

※ 일정 득표율 이상을 얻으면 기탁금 일부 반환

✅ 4. 등록 무효 사유

  • 서류 누락 또는 기탁금 미납
  • 등록신청서에 허위 사실 기재
  • 선거권·피선거권 결격 사유가 있는 경우

⚖️ 실제 판례로 본 후보 등록 유의사항

부산고등법원 2012노667 판결
후보자 등록 시 고의로 일부 서류를 누락하거나 허위 사실을 기재한 경우,
형사처벌 대상이 될 수 있으며 등록 자체가 무효로 처리될 수 있음.

출처: 국가법령정보센터 판례정보


💡 후보자 등록, 왜 중요한가요?

목적이유
공정성 확보 부적격자 사전 차단, 유권자 보호
정보 공개 후보자에 대한 객관적 판단 자료 제공
선거 질서 유지 무분별한 출마 방지 및 신뢰도 확보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