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세미인 폐월 초선(閉月貂蟬)
초선(貂蟬, 175년~199년(소설상 나이))은 서시,
왕소군, 양귀비와 함께 중국의 4대 미인 가운데 한
사람이다.
○ ' 삼국지연의 ' 이전의 초선
: 초선은 ' 삼국지연의 ' 에 처음 등장하는 인물이 아
니며, 그 이전에도 다른 작품에서 등장하였다.
원나라 때의 잡극인 ' 연환계 ' 에서 초선은 흔주 목
이촌 임앙의 딸인 林紅昌(임홍창)으로 영제 때 궁
녀로 선발되었다가 丁建陽(정건양=정원)에게 하
사되었다고 나온다. 그때 여포를 만나 그 아내가
되었고, 황건적의 난이 일어나 헤어졌다가 나중에
왕윤으로 말미암아 여포와 재회한다. 또한 이 잡극
에서는 초선의 뜻을 “ 담비의 꼬리와 매미의 날개 ”
라고 풀고 있다.원나라 때의 소설인 ' 삼국지평화 '
에서 초선은 본래 임씨이고, 어릴 때의 이름이 초선
이며, 남편은 여포라고 하였다. 임조부에 있을 때부
터 여포와 떨어지게 되었다고 나온다. 이 소설에서
는 왕윤이 동탁을 청해 초선을 바친다고 한 뒤 여포
를 초대하여 부부를 만나게 하여 갈등을 일으킨다.
대체로 ' 삼국지연의 ' 이전의 작품에서는 초선은
동탁이나 왕윤을 만나기 전부터 이미 여포의 아내
였다는 설정이 주류를 이룬다.
○ ' 삼국지연의 ' 의 초선
: 초선과 관련하여 ' 삼국지연의 ' 에서는 다음과 같
이 나온다.
司徒(사도) 王允(왕윤)의 가기이다. 일설에는 양
녀라고도 한다. 童卓(동탁)이 폭정을 잡을 당시 王
允(왕윤)은 曹操(조조)에게 七星劍(칠성검)을 주
며 童卓(동탁) 암살을 꾀했지만 실패를 하였고, 초
선의 제의로, 또는 왕윤의 명으로 童卓(동탁)과 呂
布(여포)를 이간질시키는연환계를 펼쳐 동탁을 죽
인다.
○ ' 삼국지연의 ' 에서 초선의 2가지 모습
: 첫번째, 대의명분을 위해 목숨까지 바치는 ' 충의지
사 '. 두번째, ' 남편의 앞길을 가로막는 여인 (또는
여자의 치마폭에 싸여 대사를 그르치는 남편의 아
내) ' 라는 모습이다. ' 삼국지 연의 ' 에서 초선은 여
포와 정을 통한 동탁의 개인 시녀를 기본 베이스로
만들어진 인물로 나관중은 이 여인에게 초선이라
는 이름을 부여한 후 동탁의 시녀가 아닌 왕윤의
양녀로 묘사했다.
젓번째. 충의지사
➡ 忠義之士(충의지사) : 충의지사인 초선의 모습
에는 유약한 여인이 모습과 마음이 강직한 지사
의 모습을 함께 가지고 있다. 왕윤이 동탁을 제거
하지 못해 애를 태울 때 “ 소용이 된다면 만 번 죽
어도 사양하지 않겠다.” 라는 요지의 말을 한다.
왕윤이 초선의 말에 답하자 초선은 다시 말하기
를 “ 어찌 대감의 일을 위해 죽음을 두려워 하겠
느냐? ” 라는 요지의 말을 한다.동탁이 죽은 뒤
여포가 미오성을 공격하고 초선을 찾기에 혈안이
되었다는 이야기로 ' 삼국지연의 ' 에서 이유가 여
포에게 작은 칼을 던져 죽이려 했으나, 결국 초선
이 죽었다고 한다.
두번째. 남편의 앞길 막는 여자.
➡ 남편의 대사를 그르치는 여인 : 초선은 남편의 대
사를 그르치는 여인으로 등장, 이에 대해 초선보
다는 여포가 여자의 치마폭에 싸여 대사를 그르
치는 사람임을 나타내는 문학적 장치라고 해석하
는 사람이 많다. 한편으론 초선이 실존 인물이 아
니기에 서로 상반된 모습으로 나타난다고 보기도
한다. 이런 관점에서 보면 초선은 철저히 연약하
고 이기적인 여자로서 그려진다. 이 때문에 일부
삼국지의 저자들은 이 부분의 초선이 여포가 동
탁을 죽일 무렵에 등장한 초선과 별개의 인물이
며 '가짜 초선'이라고 묘사하기까지도 한다. 여포
가 조조의 공격을 받고 성에 고립되었을 때 성을
사수할 것을 고집하자, 진궁이 나서서 고립되면
더욱 위험하니 성 밖에 나가서 지친 조조군을 공
격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 일을 여포가 엄씨와
초선에게 말하자, 초선이 “ 우리를 버리고 함부로
군사를 일으키는 일이 없도록 해달라.” 라고 애
원한다.
○ 다른 작품의 초선
: 초선은 가상 인물이기에 여러 작품과 야사에서 새
롭게 다루어지고 있다. 동탁이 죽은 직후, 곧바로
자살했다는 이야기도 있다. 이 때문에 연의에서는
초선이라는 이름도, 외모도 똑같은 다른 여인을 여
포의 부인으로 다시 나타나게 해야만 했다.여포 사
후, 비구니가 되었다가 이전에 본 관우에게 반하여
관우를 끝까지 모셨다는 얘기도 있다.관우를 처음
봤을 때 서로 반했다.고우영 삼국지에서는 여포를
최대한 좋지 않은 쪽으로 몰고가기 위해 여포가 아
닌 왕윤과 사랑하는 사이로 묘사되며 자결한 후 그
시체가 여포에 의해 강간당한 것으로 묘사했다.관
우의 연인이 되었지만 관우의 손에 죽었다고 하기
도 한다.
○ 역사 속의 초선
: 정사 ' 삼국지 ' 에는 초선이라는 이름은 나오지 않
고, 그저 동탁의 “시비”라고만 하고 있다.
원문 : 布與卓侍婢私通(여포탁시비사통)
해석 : 여포가 (동탁의) 시비와 사사로이 정을 통했다.
원래 초선이라는 이름 역시 각색된 (나관중 또는 다
른 사람에 의해) 것이고 그 본명을 아는 이는 아무도
없다.
* 저의 개인적인 문제로 많은 시간이 지나버리고 말
았습니다. 앞으론 글에 대한 댓글만 부탁드립니다.
앞전의 일들처럼 그와 같은 일들이 다신 없었으면
합니다. 다른 모든 분들 양해의 말씀드리고 더불어
죄송합니다.
그리고 기다려 주심에 대해 깊이 감사드립니다.
자료가 준비되는 대로 바로 게재하도록 하겠습니
다. 앞으론 이 글은 인문학 태그 쳬크하지 않겠습니다.
점심 맛있게 드시고 활기찬 한주 되시기 바랍니다.
삼국지도 이제 막바지에 들어 섰네요..
항상 잼나게 읽어 주셔서 감사하고..
몇편 남지않은 삼국지 즐독 하시길 바랍니다.
중부지방은 가을 장마가 시작 되네요..
모두들 안전운전 하세요..
'유용한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을의 유혹> (1) | 2019.09.05 |
---|---|
익숙한 듯 특별한 대전여행- 숨은 대전 찾기!! (4) | 2019.09.05 |
손자병법 - 현대인의 필독서 (0) | 2019.09.05 |
그대에게 띄우는 편지 (1) | 2019.09.05 |
우주의 시간과 인간의 시간 (0) | 2019.09.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