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드시 적의 간첩 중에서 우리에게 와서 간첩활동을 하는
사람을 색출하여 그들에게 미끼를 걸어
유인하고 끌어들여 붙들어 둔다.
이러면 반간을 얻어 운용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적의 정보를 얻고
향간과 내간을 얻어 운용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정보를 얻어 사간을 통해
거짓 정보를 만들어 적에게 알릴 수 있다.
이런 정보를 통해 생간에게 날짜에 맞추어
돌아와서 보고하게 한다.
이 다섯 가지 간첩에 관한 일은 군주가 반드시 알고 있어야 한다.
이런 정보 활동은 반드시 반간이 중심이 되는 것이기 때문에
반간을 후하게 대접해주지 않을 수 없다.
【原文】
必索敵人之間來間我者, 因而利之,
필색적인지간래간아자, 인이리지,
導而舍之, 故反間可得而用也.
도이사지, 고반간가득이용야.
因是而知之, 故鄕間, 內間可得而使也.
인시이지지, 고향간, 내간가득이사야.
因是而知之. 故死間爲誑事可使告敵,
인시이지지. 고사간위광사가사고적,
因是而知之, 故生間, 可使如期.
인시이지지, 고생간, 가사여기.
五間之事, 君必知之, 知之必在於反間,
오간지사, 군필지지, 지지필재어반간,
故反間不可不厚也.
고반간불가불후야.
【해설】
다섯 가지 간첩을 활용하는 방법으로
첫째 단계는 신변에서부터 시작해서 반드시 적이 우리 내부에 침투시킨 간첩을 철저히 조사해 찾아내야 합니다.
그리고 그 간첩을 매수한 뒤 돌려보내 우리를 위해 일하게 해야 하는데, 이것이 반간(反間)입니다.
둘째 단계는 향간과 내간을 활용하여 반간(反間)과 협력해 정보를 수집하게 합니다.
셋째 단계는 진실과 거짓이 뒤섞이게 하는 것,
곧 사간을 보내 거짓 정보를 적에게 전해주는 한편
“생간”을 보내 진짜 정보를 아군에 전달하게 하는 것입니다.
이런 정보의 주요 출처는 ‘반간(反間)’이므로
‘반간(反間)’이 가장 중요합니다.
손자병법에 용간편이 있는 것은 특히 정보활동을 중시했지 때문입니다.
하지만 클라우제비츠의 ‘전쟁론’에서는 이런 부분이 없습니다.
클라우제비츠가 전쟁의 불확실성을 말한 이유는 아주 많지만 그 가운데 하나가 바로 정보는 믿을 수 없다는 것입니다.
그는 이렇게 이야기 했습니다.
“어떠한 장수라도 확실히 알 수 있는 것은 다만 자신들의 상황일 뿐이며,
적의 상황은 정확하지 않은 정보를 통해 짐작 할 뿐이다.
이 때문에 그의 판단이 잘못될 수도 있고,
따라서 자신들이 마땅히 행동해야 할 때인데도 오히려 적들이 반드시 행동해야 할 때로 잘못 알 수 있다”
정보의 진실과 거짓을 가려내고 분석하는 것은 매우 어렵고 복잡한 일입니다.
버려야 할 17가지 습관 (5) | 2019.09.08 |
---|---|
흐르는 거리 (0) | 2019.09.07 |
조선 전쟁사 - 병자호란 (0) | 2019.09.07 |
삼국지 인물열전 - 효웅 원소의 세아들 ' 원담, 원희, 원상 ' (0) | 2019.09.07 |
약속과 기다림 (2) | 2019.09.07 |
댓글 영역